Quantcast
Channel: 아방가르드의 스튜디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240

2018 서울 EV트렌드 코리아 전기차 전시회 후기

$
0
0
조금 지나긴 했지만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 EV트렌드 코리아라는 이름의 전기차 전시회를 다녀온 후기입니다. 나름 코리안 프리미어가 두가지 있어서 평일에 시간을 내서 찾아가긴 했는데 역시나 시간 아까운 행사였던 것은 어쩔 수 없군요..


현대 코나 일렉트릭. 컴팩트 SUV 코나를 기반으로 한 순수전기차입니다.


기존 내연기관형 코나의 앞그릴을 밀폐시키고 헤드램프 무광 플라스틱 하우징을 없애는 등 전면은 변화폭이 크지만, 후면은 의외로 변화폭이 거의 없습니다.


코나 일렉트릭은 두가지 배터리 사양으로 가격을 달리해 출시됩니다. 64kWh 버전은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406km로 당초 알려진 390km보다 더 길게 확보됐으며, 39.2kWh 버전은 254km 상당입니다. 모터의 스펙은 최대출력 150kw(204ps), 최대토크 395Nm(40.3kg.m)으로, 배터리 탑재로 인한 무게증가분은 있지만 그래도 국산 소형 SUV 중 가장 화끈한 동력성능을 자랑했던 코나 1.6T 대비로도 출력, 토크가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날쌘 주행감이 기대됩니다.


현대기아차의 BEV는 기존 내연기관차들 대비 실내가 많이 변경되는데, 코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언덕을 타고 내려오듯 배치된 센터 조작계엔 버튼식 기어조작계가 달리며, 배터리 사용 절약을 위해 운전자 전용 공조 모드, 패들시프트로 위장한 회생제동 강도 셀렉터 등 전기차 특화 기능들을 많이 심어두었습니다. 산뜻한 파스텔톤 인테리어 또한 기존 내연기관형 코나에서 볼 수 없는 조합이죠. 배터리 탑재로 인해 뒷자리가 조금 더 좁아졌다고는 하는데, 기존 코나 뒷자리도 썩 여유있는 편은 아닌지라 키 181cm 필자 기준으로 그냥 앉을만한 자리가 나오는 느낌은 비슷합니다.


트렁크는 기존 코나와 비슷하되, 커버 하단 언더트레이 공간활용도가 나빠진 것 외에 큰 변화가 없습니다.


컬러 종류가 의외로 많지 않은데 그 중에서도 뭔가 애매하게 안 이쁜 컬러만 내놓은 느낌; 아무튼 볼트EV 이래 가격대비 주행가능거리가 가장 높은 차가 될 코나 일렉트릭은 전기차를 산다면 개인적으로 제일 눈여겨볼 기대주가 될 것 같습니다.


넥쏘 수소연료전지차와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이번 행사 말고도 다른 곳에서 체험을 해본지라 그냥 넘기고.. 일렉시티라는 이름의 전기버스가 눈여겨볼만합니다. 부산 시내버스로 소량 출고되었다고 하는데, 실제 대중교통으로 운용될땐 어떤 느낌일지 궁금해집니다.


자동차 셰어링 업체나 배터리 업체 등도 전기차를 따로 내세우기에,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특히 현대차 부스가 아닌 곳에서도 구석구석 만날 수 있었습니다.


트위지와 SM3 ZE 2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보유하여, 현대기아 다음으로 BEV가 많은 국내 자동차 메이커(?!) 르노삼성의 부스는 역시 트위지와 SM3 ZE를 갖다놨습니다. 트위지는 지난 겨울에 시승기를 올렸을 정도로 익숙한 물건이라 지나가고, SM3 ZE는 배터리 용량을 늘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213km를 확보했습니다. 여전히 비정상적으로 긴 트렁크 사이에 세워둔 배터리 덕에 실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가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ZOE를 차라리 들여오면 좋을텐데..


BMW는 올 2분기 출시할 PHEV 대형차 740e를 이날 국내 최초로 공개했습니다. 113마력, 25.5kg.m토크 제원의 전기모터에 4기통 2.0리터 터보 휘발유 258마력 엔진을 발전기로 쓰는 조합은 2.1톤을 살짝 넘는 대형차를 움직이기에 충분한 힘을 보태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다만 PHEV인만큼 자택내 충전기 구비는 필수..


미국에서의 매우 적은 수입물량 탓에 국내 돌아다니는 비중은 매우 작으나 그래도 관심대상 중 하나인 미국지엠 쉐보레 볼트EV. 하지만 한국지엠에서 별도로 참가하지 않아, 환경부가 가져온 전시차로 대신 구경할 수 있게 해뒀습니다.


재규어 i-페이스. 재규어 창사 첫 전기차가 될 이 차는 90kWh 리튬이온 배터리로 전/후륜 각각 150kW(200ps)를 내는 듀얼모터를 달고 WLTP 기준 480km의 1회충전 주행가능거리와 0-96km/h 4.5초 수준의 날쌘 동력성능을 가집니다. 전장은 싼타페와 투싼 사이지만, 휠베이스가 2,990mm로 무척 길어 실내공간은 무척 여유롭습니다. 랜드로버 최신 모델에서 선보인 근사한 터치형 인터페이스나 히든 도어캐치 등을 차용하여 미래적인 느낌. 가격은 1억원 이상으로 비싸겠지만 넉넉한 예산으로 전기차를 알아본다면 테슬라보다 훨씬 매력적인 차가 될 것 같습니다.


모델3라도 있으면 열심히 보고 오려 했는데 모델S 두 대만 가져와서 실망스러웠던 테슬라 부스. 흰색의 모델S P100D는 나름 신규 고성능형이지만, 문이 잠겨있어 볼 수 없었습니다.


중국 BYD가 출품한 전기버스 2종. 2층버스는 국내 운용 여건이 애매하지만 15인승 미니버스는 2시간 충전으로 200km 주행 가능해 제주도 우도에 20대의 납품 실적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볼보를 대놓고 따라한 트럭은 전기차도 아닌듯한데 왜 나온건지..


이마트에서도 판매되는 중국 즈더우의 D2 초소형전기차. 최고시속 80km/h에 그쳐 고속도로 진입 불가하고 17.3kWh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환경부 기준 완충 후 상온 92.6km 주행 가능한 스펙입니다. 트위지보다 못생기긴 했지만, 적어도 밀폐가 가능해 빗물 맞을 걱정은 없고 AVN과 에어컨, 쓸만한 2인승 시트에 트렁크 공간까지 갖춘 점은 실용성에서 압도적 우위를 가져갑니다. 가격도 트위지보다 비싼 점은 좀 애매하지만 음..


즈더우 D2를 위탁판매하는 쎄미시스코가 자체개발한 사륜화물 전기차 U4, 역삼륜전기차 R3입니다. 시내 순찰, 배달용 등으로의 수요가 기대되는 형태의 초소형 전기차들이죠.


대창모터스 다니고 EV. 트위지를 영락없이 어설프게 흉내낸 외관이 아쉬우나, 에어컨/히터, 파워윈도, 후방카메라가 적용되어 옵션은 의외로 트위지보다 좀 더 낫습니다. 고속도로에 못올라가고 잦은 완속충전이 필요한 제원도 트위지와 비슷.. 어떤 업체인가 했더니 한국야쿠르트 배달원들에게 보급된 전동카트를 개발/납품 중인 업체군요.


썬볼트 픽업. 적재중량 500kg급의 EV형 픽업 차량입니다. 최고속도가 60km/h 수준으로 매우 낮고 도배장판을 플로어매트로 깔고 있는 등 만듦새가 좀 거시기하군요 흠..


그 외 다양한 전동바이크나 모빌리티들의 전시/시연 행사도 볼 수 있었습니다.


EV트렌드에 어울리지 않는 매우 시끄럽고 비친환경적인 CJ슈퍼레이스 6000클래스 스톡카..?!


???


으으 이런 위험한건 제발 팔지도 만들지도 맙시다 ㅠ


[#ADSENSE|ca-pub-7629890225161729|6284599891|1|728px|90px#]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240

Trending Articles